전체 글

🔶 함수란?function add(x, y) { return x + y;}add(2, 5); // 7함수는 입력을 받아 출력으로 변환하는 일련의 과정을 정의한 코드입니다. 함수를 통해 동일한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하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어 코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 함수는 일반적으로 입력값(인수)를 매개변수로 받아 처리하고, 결과를 반환값으로 반환합니다. 함수는 정의되기만 하고 호출되지 않으면 실행되지 않으며, 함수 호출을 통해 실제로 동작 합니다. 🔶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 코드 재사용성 : 동일한 작업을 반복해서 작성할 필요가 없습니다.유지보수의 용의성 : 코드 수정 시, 함수 내부만 수정하면 되어 관리가 용이합니다.가독성 향상 : 복잡한 코드가 함수화되면 읽기 쉽게 됩니다.신뢰성 :..
🔶 원시 값변경 불가능한 값원시 값은 한 번 생성되면 그 값을 바꿀 수 없습니다. 변수에 새로운 값을 할당하면 기존 값이 수정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메모리 공간에 값이 생성되고, 변수는 이를 가리킵니다. 이러한 불변성은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합니다.var a = 10;var b = a;b = 20;console.log(a); // 10console.log(b); // 20문자열과 불변성문자열은 각 문자마다 2바이트를 사용하며, 배열처럼 인덱스로 접근할 수 있지만 변경은 불가능합니다.var str = "Hello";str[0] = "h";console.log(str); // "Hello" (변경되지 않음)값에 의한 전달원시 값은 값에 의한 전달로 복사됩니다. 변수 간 값이 복사되어 독립적인 메모리를 가..
🔶 객체란?객체는 다양한 값(원시 값 또는 다른 객체)을 하나의 단위로 구성한 복합적인 자료구조입니다. 자바스크립트에서는 거의 모든 것이 객체로 이루어져 있으며, 객체는 0개 이상의 프로퍼티로 구성됩니다. 각 프로퍼티는 키와 값으로 이루어지며, 객체는 상태(프로퍼티)와 동작(메서드)을 함께 포함할 수 있습니다. 🔶 객체 리터럴을 사용한 객체 생성자바스크립트에서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객체를 생성할 수 있지만, 가장 간단하고 직관적인 방법은 객체 리터럴을 사용하는 것입니다. 객체 리터럴은 중괄호 ``{}`` 안에 프로퍼티를 정의하여 객체를 생성하는 방식입니다.const person = { name: "박제로", age: 24, greet: function() { console.log(`안녕하세..
🔶 타입 변환이란?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값은 특정 타입을 가집니다. 이 타입을 변환하는 과정을 타입 변환이라 합니다. 개발자가 직접 타입을 변경하는 경우를 명시적 타입 변환(타입 캐스팅)이라 하며,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코드 실행 중 자동으로 변환하는 경우를 암묵적 타입 변환(타입 강제 변환)이라 합니다. 중요한 점은 기존 원시 값의 타입이 직접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, 변환된 새로운 원시 값이 생성된다는 것입니다. 🔶 암묵적 타입 변환압묵적 타입 변환은 개발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코드 문맥에 따라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자동으로 수행합니다.문자열 타입으로 변환``+`` 연산자는 피연산자 중 하나라도 문자열이면 문자열 연결 연산자로 동작합니다. 이 과정에서 문자열이 아닌 값은 문자열로 변환됩니다.10 + '5'..
🔶 제어문이란?제어문은 조건에 따라 코드 블록을 실행하거나(조건문), 특정 코드를 반복 실행할 때(반복문) 사용됩니다. 🔶 블록문블록문은 하나 이상의 문을 중괄호 ``{}``로 묶은 코드 블록을 의미하며, 보통 제어문이나 함수를 정의할 때 사용됩니다. 블록문은 자체적으로 종결성을 가지므로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습니다. 🔶 조건문조건문은 주어진 조건식을 평가한 후, 그 결과에 따라 코드 블록의 실행 여부를 결정합니다. 조건식은 참(true)과 거짓(false)으로 평가됩니다.if-else 문if (조건식1) { // 조건식1이 참이면 이 코드블록이 실행된다.} else if (조건식2) { // 조건식2가 참이면 이 코드블록이 실행된다.} else { // 조건식1과 조건식2가 모두 거..
🔶 연산자란?연산자는 하나 이상의 값에 대해 다양한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입니다. 이때 연산의 대상이 되는 값을 피연산자라고 하며, 연산을 통해 새로운 값을 생성합니다. 🔶 산술 연산자산술 연산자는 수학적 연산을 수행하여 새로운 숫자 값을 만들어내는 연산자입니다. 만약 연산이 불가능한 경우 ``NaN``(Not a Number)을 반환합니다.산술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개수에 따라 이항 산술 연산자와 단일 산술 연산자로 구분됩니다.이항 산술 연산자 : 두 개의 피연산자를 대상으로 연산을 수행합니다. 덧셈(``+``), 뺄셈(``-``), 곱셉(``*``), 나눗셈(``/``), 나머지(``%``)가 이에 해당합니다. 이들은 피연산자를 변경하지 않고 새로운 값을 반환하므로 부수 효과가 없습니다.단항 산술 연..
🔶 숫자 타입자바스크립트는 하나의 숫자 타입만을 가집니다. 모든 수를 배정밀도 64비트 부동소수점 형식, 즉 실수로 표현합니다. 따라서 1과 1.0은 같은 데이터가 되는겁니다. 또한 2진수, 8진수, 16진수로 값을 할당해도 변수 참조 시 모두 10진수로 해석됩니다. 특별한 숫자 타입으론 ``Infinity``(양의 무한대), ``-Infinity``(음의 무한대), ``NaN``(산술연산불가)가 있습니다. 🔶 문자열 타입문자열은 텍스트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. 작은 따옴표(''), 큰 따옴표(""), 백틱(``)으로 텍스트를 감싸 표현합니다. 이 기호 없이 작성된 텍스트는 식별자나 리터럴로 인식되기 때문에 반드시 이러한 기호로 감싸야 합니다. 🔶 템플릿 리터럴자바스크립트 문자열엔 템플릿..
🔶 값값은 표현식이 평가되어 생성된 결과를 의미합니다. 변수에 할당되는 것이 바로 값입니다. 값은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, 가장 간단한 방법은 리터럴을 사용하는 것입니다. 🔶 리터럴리터럴은 사람이 알아볼 수 있는 문자나 기호 등을 사용해 값을 표기하는 방법입니다. 예를 들어,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고 문자열은 ``""`` 기호 사이에 작성하는 방식입니다.컴퓨터는 이진수로 데이터를 처리하지만 리터럴을 통해 사람이 쉽게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리터럴은 런타임 시 평가되어 값을 생성하게 됩니다. 🔶 표현식표현식은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문입니다. 표현식을 해석하면 새로운 값이 생성되거나 기존 값을 참조하게 됩니다.리터럴 자체가 표현식이 될 수 있습니다.``50 + 50``..
#JERO